야간에 출출할때나, 소주 한잔 하고 싶을때 간단히 찌개 만드는 방법입니다. 언제든지 냉장고에 있는 재료들로 끓일 수 있는 찌개라 갑자기 술판이 벌어지면 대응할 수 있는 안주 거리입니다. 얼큰한 찌개 하나만 있어도 만족한 술판이 될 수가 있을 겁니다. ※ 준비 재료 : 돼지 고기(삼겸살, 목살, 앞/뒷다리살등이나 대패 형태로 파는 돼지고기류 등) 150~300g(1~2인분 정도임). 두부 1/2모, 감자 2개, 묶은김치, 애호박,양파, 다진 마늘,대파, 고추장 1/2스푼, 된장 1/3스푼, 식용유 1스푼, 설탕(개인적으로 올리고당 추천) 1스푼, 소금 1/2스푼, 고추가루 1스푼 등. ◆ 만들기 순서 1.돼지고기를 한입 크기로 약간 도톰하게 저며 썬다. 2.두부는 도톰하고 네모지게 썰고, 감자와 애호박, ..
늦겨울부터 이른봄이 제철은 대게는 게의 다리가 대나무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대게는 크기보다는 속살이 얼마나 단단하게 찼는가가 중요한데, 제일 좋은 방법은 대게의 배를 눌러서 물이 나오거나 무르면 하품입니다. 근데 구매할때 눌러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눈으로 고를때는 대게 배의 색깔이 짙을 수록 살이 차고 단단하다고 보면 되고, 등 껍질에 따개비등이 붙어 있을 경우 탈피를 한지 오래되어서 살이 찰 확율이 높습니다. 대게를 찌기 전에 기절을 시켜야 하는데, 찬물에 10분정도 담가 두면 됩니다. 그러면 삶을 때 움직여서 다리가 떨어지거나 뒤집어 지는 불상사가 없게 되어, 대게 속 육수나 내장과 대게 속살이 흘러 나오지 않아 대게 맛을 충분히 느낄수 있습니다. 대게를 찌는 방법은 간단한데, 우선..
바다의 불로초라는 톳(Sea weed fusiforme)은 갈조 식물 모자반과의 바닷말로 조간대 하부에 서식하면, 유성세대만 존재하는 다년생 해조류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주로 주문진 이남에서 서해안 장산곶까지 자라며, 특히 남해안과 제주도에서 잘 자랍니다. 톳에는 요오드,칼슘,칼륨,철분,마그네슘 등의 무기염류가 많이 함유하고 있어, 혈액 응고 방지,혈관 경화 방지, 치아건강, 머릿결이 윤택하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이에 고혈압,심혈관 질환, 고지혈증 질환이 있으신 분들께 치료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요오드는 갑상선 질환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해조류 중에서 가장 철분이 많아 '바다 철분의 왕'이라 불리며, 시금치의 3~4배나 되어 빈혈 증세가 있으신 분에게 좋습니다. 또한 임산부의 경우 태아의..
구미 형곡동 니쭈내쭈 쭈꾸미 맛집입니다. 여러군데 쭈꾸미 집을 다녀 봤지만, 여러가지 사이드 메뉴가 괞찮은 맛집이라 소개 드립니다. 먼저 가게앞에 공영 주차장이 있어서 주차하기 편리하고 좋구요! 가격은 다른 쭈꾸미집이랑 비슷한데, 메뉴가 차이가 있는것 같아요! 니쭈내쭈 세트를 시키면 아래와 같이 사이드 메뉴가 세트로 나옵니다. 먼저 새콤 달콤한 도토리 묵 냉채 구요! 아이스크림을 올린 야채 샐러드립니다. 고른곤졸라피자인데, 꿀이랑 찍어 먹게 나옵니다. 매운 쭈꾸미와 같이 드셔도 아주 좋습니다. 밑반찬으로는 김, 무우쌈,깨잎, 콩나물,그리고 매운 쭈꾸미를 달래주는 특제 소스가 개별로 나옵니다. 마지막으로 볶음밥을 드시면 푸짐하고, 깔끔합니다. 구미 맛집으로 추천합니다.
늦겨울에서 이른봄까지가 제철인 대게는 게의 다리가 대나무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보통은 게가 크다고 붙여진 이름으로 아는데, 대게의 '대'는 대나무이다. 영문으로는 Snow Crab ( 흰눈 게??)로 게살이 눈처럼 하얗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서식은 북태평양에서 수심 200~800m 깊이에서 하는데, 우리나라는 동해안 전역에서 자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영덕 대게라고 하는데, 과거 교통이 발달하기 전에 동해안의 대게가 영덕에서 집산하여 내륙으로 수송되어서 영덕 대게로 불렸다. 동해안 여러 곳에서 잡히는데, 그 중에 울진에서 가장 많이 잡힌다. 울진에서 많이 잡히는 이유는 울진 앞바다에 '왕돌초'라는 거대한 암초가 있는데, 이곳에 대게가 집중적으로 서식하기 때문이다. 왕돌초는 울진 후포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