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시장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주요 공약인 소득세 인하, 인프라 투자 등이 현실화 될 우려에 따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를 의미하는 신조어가 '트럼플레이션(Trumpflation)' 인데, 트럼프의 경제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Inflation , 통화량 증가로 화페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물품의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 현상)을 의미한다.미국의 제 45대 대통령 당선인 트럼프는 1조달러(약 1,777조원)의 엄청난 재정을 인프라 투자에 쓰겠다고 했고, 재정확대 와 전면적인 세금감면과 자국 보호 무역주의를 공약으로 걸어서 인플레이션을 부추기는 원인으로 되고 있다.[유튜브_트럼플레이션 보도]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대선 결과가 나온 직후인 이달 9∼11일 학계와 업계, 금..
금일 13일 오전에 한국 은행 이주열 총재가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에서 전원 만장일치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물류 대란과 수출 급감 및 파업까지 경제 위기 우려속에서, 금통위는 기준금리 1.25%를 네달 연속 동결을 결정하였다. 이에 국내 기준 금리는 6월달 금리 1.5%에서 1.2%로 인하 이후 4개월째 동결 기조를 이어 갔다. 기준 금리란 한국 은행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금통위에서 매월 두 번째 목요일에 결정하며, 금융기관과 RP매매,자금조정 예금과 대출 등의 거래를 할때 기준을 설정하는 정책금리이다. 금통위에서 통화 정책의 목표인 물가 안정을 위해, 매달 물가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경제현황과 금융시장 등을 종합하여 기준 금리를 결정한다. 결정된 기준 금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