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의학

송이 버섯_가을철 건강식

Pryous_jiny 2016. 10. 16. 01:00

가을철 대표적인 건강식은 송이 버섯이다.

보통 9월에서 10월 말까지 나온다.

형태는 균모가 육질이고, 지름이 5~15㎝ 이며, 구형이나 반구형에서 편평하게 되며 중앙부가 돌출되어 있다.

균모 표면은 마르고 진한 황갈색이나 암갈색의 섬유상 인편이 있다.

살은 두껍고 단단하며, 백색이고 짙은 송진 냄새가 난다. 

소나무 품이나 신갈 나무 숲속 땅에 군생하거나 단생하며, 소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그래서, 송이 버섯은 송심(松蕈),송균(松菌) ,송화심(松花蕈) 이라고도 불린다.

옛날에는 임금님이 드시던 귀한 음식으로 산삼과도 같았다.

신라 성덕대왕(재위 702~737)이 송이 버섯을 즐겨 드셨다는 기록이 있고, 조선 영조(재위 1724~1776)는 평소 식사를 보리밥만을 드실 정도로 근검절약했으나, 송이 버섯은 좋아하고 자주 드시던 음식이였다고 한다.

동의보감에는 '송이 버섯은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고, 향기로운 솔 냄새가 난다. 이것은 산에 있는 소나무 밑에서 솔의 기운을 받으면서 돋은 것으로 버섯 가운데 제일이다' 라고 되어 있다.

송이 버섯은 소나무 중에서도 붉은 적송 잔뿌리에서 자란다.

금강 소나무 적송은 산비탈이나 바위 틈 험한 곳에 잘 크는데, 화강암이 오랜 세월 바람에 부스러진 땅으로 송이가 잘 자라는 토질이다.

송이 버섯은 인공 번식 기술이 아직 개발 되지 않았으며, 일본도 100년 이상 연구하고 있지만 대량 인공 생산에는 실패하였다.

송이 버섯은 갓이 중요한데, 갓이 거의 펴지지 않고, 자루가 굵고 뭉툭하며 살이 두터운게 일등품이다.

갓이 약 30% 이내 펴진 것은 이등품, 갓이 30% 이상 펴지면 삼등품이고, 벌레 먹거나 파손품이나 물을 먹었것은 등외품이다.

버섯을 순위를 말할때, '일능이송삼표'라고 하는데, 첫째가 능이 버섯, 두번째가 송이 버섯, 세번째가 표고버섯이라고 한다.

그건 효능으로 순위를 매긴것으로 , 맛과 모양으로 치자면 송이 버섯이 으뜸이다.

송이 버섯은 향과 씹는 맛이 좋은데 , 소금으로 간을 맞춰 세로로 잘게 찢어 먹는게 가장 맛있다.

일본 사람들은 자를때 칼을 사용하지 않는데, 이유는 귀한 송이 버섯에 쇠 냄새라도 날까 우려하는 것이다.

그래서 대나무 칼로 썰어 날것 그대로 소금에 찍어 먹는다.

송이 버섯을 구워 먹을때는 소금으로 간을 조금 한뒤 직접 굽거나, 은박지로 싸서 구워 먹는게 향과 식감이 살아 있다.

저의 고향에서는 추석 명절에 제사 탕국에 넣어서 끓이는데, 그 솔향이 은은하게 퍼지면서 탕국 자체의 풍미가 높아 진다.

송이 버섯의 효능을 알아보자.

1.면역력 증가가 있다.

비타민 B군과 아미노산이 다양하고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면역력 향상에 좋다.

2.변비 개선 및 장 건강 증가 효과가 있다.

수용성 식이 섬유와 불용성 식이 섬유가 균형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장 기능을 향상 시키고, 변비 개선에도 탁월한 효능이 있다.

그리고, 헤밀라제, 벤트라제, 셀라제 등의 섬유 분해 효소가 있어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분해 시켜서 소화를 잘되게 한다.

3.항암 효과가 있다.

연구 결과로 송이 버섯 성분 중에 글루칸이란 성분이 항암효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글루칸 성분은 다른 버섯에도 포함되어 있지만, 특히 송이 버섯이 함유량이 높다.

식도암, 인후암, 뇌암, 감상선암 등에 억제 효과가 있다.

4.성인병 예방효과가 있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성분이 있어,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심혈관 관련 질병 예방 및 제어와 성인병 중에 고혈압과 당뇨병에 좋은 효과가 있다.

5.피부건강에 좋다.

각종 비타민(B,D)과 무기질 성분이 풍부해서 피부를 윤기있고, 탄력있게 만들어 준다.

건강한 피부를 원하시면 송이 버섯을 자주 드세요!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로이드 부작용  (0) 2016.10.16
능이버섯_건강 보양식  (0) 2016.10.16
미세 먼지에 대해 알아 볼께요!  (0) 2016.10.15
파킨슨병  (0) 2016.10.09
아토피에 대해서  (0) 2016.10.08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